同樂茶軒-문화와 예술/詩가 있는 뜨락

[스크랩] 이 바쁜데 웬 설사/ 김용택

sosoart 2014. 7. 19. 17:01

  

 

 

이 바쁜데 웬 설사/ 김용택

 

소낙비는 오지요

소는 뛰지요

바작에 풀은 허물어지지요

설사는 났지요

허리끈은 안 풀어지지요

들판에 사람들은 많지요

 

- 시집『강 같은 세월』(창작과 비평사, 1995)

....................................................

 

 사노라면 누구나 한두 번쯤 이런 최악의 긴박한 위기상황에 처해질 때가 있다. 자신의 일이 아니라도 둘레에서 더러 목격하게 되는데, 실제로 이 시는 시인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일러바친 이야기를 시인이 고스란히 받아쓴 것이라고 한다. 어머니가 바쁜 농사철 논두렁에서 바라보니 어떤 사람이 깔짐 지게를 지고 소를 몰고 오는데 갑자기 똥이 마려운 폼이었단다. 소를 묶고 지게를 받치려는데 깔짐이 넘어가버려 풀이 그만 허물어졌다. 그때 소가 펄떡펄떡 뛰는 광경을 보았다. 깔짐은 넘어가지, 소는 뛰지, 받치기는 힘들지. 설사는 나오려고 하지, 보아하니 삼베옷 허리띠는 잘 풀어지지 않는 것 같고 들판엔 사람들도 많았더라.

 

 시인은 이 리포터를 전해 듣고 그대로 베껴 썼을 것이다. 어쩌면 ‘소나기’부분은 각색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긴밀하게 가공 재구성한 것이 더욱 구체성을 띄고 있다. 하지만 그저 평범한 산문적 사고에 머물렀다면 시가 되진 못했으리라. ‘소나기가 오는데 소도 뛰고 풀은 허물어졌다. 게다가 설사도 나고 허리끈도 안 풀어진다. 그리고 보는 사람도 많다.’ 정도가 되겠는데 재미와 감흥이 팍 떨어진다. 그렇다면 이 시를 받혀주고 있는 것은 반복해서 서술하고 있는 ‘지요’라는 나열적 질서가 되겠는데, 시적 운율을 느끼게 하여 시를 시답게 하고 있다. 이런 형식은 사실 특별할 건 없고 우리 일상에서 흔히 써먹는 ‘비는 오지요 갈 길은 멀지요 배는 고프지요...’ 따위의 익숙한 리듬이다.

 

 중학교 교과서에도 실렸던 이 시가 요즘 아이들에겐 짧은 개그 이상의 의미일 수 있을까. 전유성은 시집을 즐겨 읽는 개그맨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 이런 시를 만나면 반색하며 소재로 써먹으려고 할 것이고 그리해도 손색은 없겠다. 여섯 행에 불과한 이 짧은 시에서 어느 한 행이라도 빠져있다면 긴장의 밀도가 떨어져 재미도 덜했을 것이다. 특히 ‘허리끈은 안 풀어지지요’란 대목이 누락된다면 아예 시의 꼬락서니가 안 되겠다. ‘바작’이란 낯선 농촌 물건도 살짝 시의 품격을 거들고 있다. 아무튼 시가 재미나긴 한데 당사자의 입장에서는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요즘 청와대와 정부 여당의 사정이 꼭 저렇다. 지지율은 내려가지요. 내세운 총리와 장관 꼬락서니는 한심하지요. 유병언 부자는 잡히지 않지요. 각종 사고는 끊이지 않지요. 축구는 졌지요. 다가올 선거는 겁나지요. 전당대회는 상처만이 수북하지요. 김정은이는 변함없이 깐족대지요. 날은 더워지지요. 경제는 살려야 하는데 민심은 뒤숭숭하지요. 이러한 청와대와 정부 여당 사정은 곧 나라의 현재 상황이다. 이 난국을 어떻게 돌파해야할까. 이 시에서의 설사 만난 이는 저 극도의 난감한 상황을 어찌 수습하였을까. 내 지난날의 어느 순간처럼 그냥 눈 감고 철퍼득 주저앉아버리고 말았을까.

 

 

권순진

 

The Way We Were/ Barbra Streisand

출처 : 詩하늘 통신
글쓴이 : 제4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