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
미술작가론│최해숙 / 생의 근원과 천상의 암호(1-2편)
김성호
화가 최해숙의 최근작 - 생의 근원과 천상의 암호
김성호(미술평론가)
인간의 생멸과 인간 존재(1958-2015)
화가 최해숙의 1958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이르는 작업들은 변화를 거듭해 오면서도 일관되게도 한 가지 근원적 질문으로 가득하다. 그것은 다름 아닌 ‘인간 존재론’에 대한 질문이다.이 질문은 마치 고갱(Paul Gauguin)의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D'où venons-nous ? Qui sommes-nous ? Où allons-nous ?)〉(1897)라는 한 작품의 제목에서 드러난 질문들과 닮아 있다. 조형의 형식은 서로 다르지만, 고갱의 작품이 그러했듯이, 최해숙의 작품 안에는 인간의 생(生), 존재, 멸(滅)의 근원이 무엇이며 그 속에서 우리의 존재란 무엇인지를 되묻는 인간 존재에 관한 끊임없는 문제의식과 철학적 성찰이 펼쳐진다.
이러한 ‘인간 존재론’에 대한 질문은 195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의 ‘자연’에 관한 오랫동안의 회화적 성찰로부터 발아해서 동양 및 한국 전통, 생명, 우주, 종교와 같은 내용들로 전개되어 왔다. 화가 최해숙은 직접 자신의 ‘작업 여정’을 표로 정리해 두었는데 그것의 연대와 주제 의식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연(1958-1995, 1996), 전통 문화 이미지/무속(1997), 우주 자연 에너지/생명과 기(1998-1999), 정신세계/윤회와 영혼(2000), 십이지/띠 문화(2001), 천부경/열림 소리(2003-2004), 어느 영혼의 노래/영혼의 상징, 순환(2005-2006), 원의 단상/원상(2007), 병상 생활/병상 일기(2008-2009), 신앙생활/신앙과 영성(2010-2013), 생명/생명 창조의 신비(2013), 단군신화/아사달(2014), 우주 암호/대화(2015).
그렇다고 한 화가의 작품 세계가 연도별로 뚜렷하게 범주화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화가가 직접 작성한 ‘작업 여정표’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일련의 동일한 세부 주제들은 이어지거나 뒤이어 다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96년 학교 퇴임을 기점으로 1958-1995년과 1996년이 미세하게 구분된 상황에서도 그 주제 의식은 동일하게 자연이었다. 1997년 집중되어 나타났던 ‘전통 문화 이미지’는 2001년에 십이지(十二支)로 그리고 2003-2004년에 천부경이라는 특수한 주제 의식으로 보다 더 구체화되었다. 아울러 정신세계를 탐구하던2000년에 관심을 기울였던 윤회는 2001년에 십이지로 이어지고, 2001년의 십이지는 2007년 원의 단상 시리즈에서 세부 주제로 다시 출현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최해숙의 작업들에 나타난 일련의 변화의 기점들은 몇몇 주요한 시점들이 있다. 전업 작가의 계기를 마련한 학교 퇴임 시기(1996), 생의 존재의 문제를 더욱 깊이 고민하게 만든 병상에서의 생활시기(2008-2009), 카톨릭이라는 새로운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세계관의 변화를 일으킨 신앙 전환의 시기(2010-2013) 등이 그것이라 할 것이다.
필자는 1958년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작품에 나타난 이러한 일련의 변화를 가늠하고 2000년대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한 작가론 한 편1)을 이미 기술한 바 있다. 제목에서 가늠하듯이, 여기서 필자는 생멸, 순환, 원이라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최해숙 작품에 나타난
‘인간 생멸과 인간 존재’라는 거시적 주제를 동양 전통의 미학 속에서 풀어보려고 시도했다.화가 최해숙에게서 이러한 동양 전통에 대한 탐구는 2003-20004년에 천부경(天符經)이라는 이름으로 이미 시도되었다. 그녀는 2014년 최근 작품에 이르러 이 천부경을 단군신화로 거슬러 올라가게 하거나 2015년에는 천부경과 카톨릭 신앙을 함께 만나게 하는 ‘우주 암호’시리즈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최해숙, 산수유 어느 날의 잔상1,2012
생의 근원과 원형(原型)으로서의 원(圓)
화가 최해숙의 최근작은 2010년의 ‘생명’ 시리즈로부터 2015년 ‘우주 암호(暗號)’ 시리즈에 이른다. 1958년 이래 자연에 관한 주제 의식으로부터 확장하는 일련의 이 시리즈들 전체를 아우르는 작품 세계는 다음과 같은 화가의 최근 작업 노트에 잘 드러나 있다.
“나는 내 삶이 작품이고 싶다. / 그래서 내 삶의 언어로 작업한다. / 내 영혼의 오랜 방황은 무지함에서였고 /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리는 / 생명의 신비로움에 감탄하기까지 / 참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 원상(圓相)은 ‘시작도 끝도 없어’ / 창조주 신(神)의 상징이다. / 나의 동그라미는 생명의 본질이고 / 근원적 형태인 ‘하나의 세계’이며 / ‘하나로 통합하는 화(和)의 마음’이다. / 이는 나의 갈망이고 모두의 바람이리라.”2)
우리는 여기서 인간 존재와 관련되는 다양한 개념들인 삶, 언어, 영혼, 생명, 시간, 신(神), 세계와 같은 키워드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그녀의 작업 노트는 생명의 신비로움을 이해하고 감흥을 받는데 이르기까지 인간 존재에 관한 많은 성찰의 시간이 필요했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총체적 경험의 세계가 이르게 하는 도달점인 동시에 오랜 사유의 과정이 도달시킨 귀결점이다. 이것을 거꾸로 생각해 보면, 생에 대한 근원적 성찰이 화가 최해숙이 지속적으로 탐구해 온 거시적 주제였음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화가 최해숙이 생의 근원을 탐구하는 회화적 방법론은 동그라미 혹은 원으로부터 출발하고 마무리되고 있다. 그녀는 위의 작업 노트에서 “나의 동그라미는 생명의 본질이고,근원적 형태인 ‘하나의 세계”라고 진술한다. 그런 면에서 최해숙이 그리는 동그라미(圓形)는 그녀의 작품 세계에서 존재의 ‘본바탕’ 또는 ‘보편적 상징’을 의미하는 원형(原型, archétype)이자 그녀의 회화적 언어의 ‘본디 꼴’을 이루는 원형(原形)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회화에서 원형(原型)이란 동일하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미지 유형을 지칭하듯이, 최해숙의 작품 세계에서 그 원형은 의심 없이 ‘동그라미’라 할 것이다. 따라서 동그라미라는 원형(圓形)은 최해숙의 작품에서 원형상(原型像, image archétypal)으로 규정된다.
실제로 최해숙에게서 초기 작품들이나 몇몇 작품들을 제외하고 2000년대에 접어든 대개의 작품들은 동그라미라는 원형상이 화면 전면에 자리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2004년부터 시작된 ‘원(圓)의 단상(斷想)’ 시리즈에서 구체화된 것이지만, 이미 2003년부터 시작된 ‘열림 소리’ 시리즈나 2005년부터 시작된 ‘영혼의 상징’ 시리즈에서도 동그라미 혹은 원의 이미지는 발견된다. 특히 “창작이라는 예술 활동이 인생의 의미를 묻고 찾아가는 구도의 과정이라는 화가의 간접적 고백을 읽어볼 수 있는 ‘열림 소리’라는 주제어는 ‘우주의 비밀’을 여는 열쇠를 떠올리게 한다. 그것은 화가의 매우 추상적인 의지가 발현된 작명(作名)으로 이 땅에 한 삶의 주체로 태어나 성장했고 이제 쌓인 연륜을 인생의 후배들에게 전수하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길을 걷고 있는 한 원로 화가의 인생 노정과 닮아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 면에서 최해숙의 당시 작업은 단순한 원(圓)의 조형적 미학을 탐구한 것이라기보다 원(圓)이 함유하고 있는 철학적 개념을 탐구한 것이라 하겠다. 원의 철학적 개념은 마치 선종(禪宗)에서의 ‘원상(圓相)’이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을 상징하는 원(圓) 모양의 그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처럼 세계 질서에 대한 순연한 근원적 사유를 우리에게 선보인다. 그것은 순환과 윤회의 우주 원리와 같은 동양적 세계관과 연동된다. 생각해 보자. ‘십이지(十二支)’라는 동양적 세계관과 더불어 ‘천부경(天符經)’이라는 단군신화와 연결되는 한국적 세계관은 결국 인간이 대면하는 자연, 타자, 사물, 우주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다시 인간을 인식하는 인간 존재론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녀의 작품이 이러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듯이, 우리는 그녀의 작품에서 동그라미 또는 원(圓)의 형상이 야기하는 다양한 인간 존재론의 내러티브와 더불어 근원적 원형(原型)에 관한 담론을 읽어낼 수 있다. 그것은 특수자를 가리고 보편자를, 개인적 상황보다 집단적 현실을 드러낸다. “원형적 패턴은 외계의 구체적 사물이나 개인의 심리적 성격과 혼동하여 고찰되어서는 안 되고, 개인을 넘어서서 인간 생활에 영향력을 갖는 심리적 현실로서 고찰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유의미한 지점이다. 따라서 원형이란 특수자의 입장을 넘어서 추상화되거나 보편화된 관념을 유형화시키면서 보편적 상징(universal symbol)으로 자리 잡는다. 즉 특수자의 생을 넘어 근원적 생으로 논의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6777b5b1_f57b2e32-5ca6-42be-93aa-504729d09b85.jpg](http://daljin.com/File/edtImg/6777b5b1_f57b2e32-5ca6-42be-93aa-504729d09b85.jpg)
화가 최해숙의 최근작 - 생의 근원과 천상의 암호
김성호(미술평론가)
1편에 이어서
원의 세계 속 각인되는 천상(天上)의 암호(暗號)
〈원의 단상〉(2004-2006) 시리즈에서 우리는 원의 세계에 대한 화가 최해숙의 다음과 같은 진술에 귀 기울인다. “둥근 원상(圓相)은 동그라미 하나로 그리는 것이지만, 삼라만상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우주의 본질이며 근원적 형태이다. 육십갑자로 돌고 돌아오는 윤회의 시간이나 자연의 이치로서 끝없이 되풀이해 온 생멸의 순환도 원상의 고리이다. 또 태극으로 생명의 근원적 씨알로서의 그 본질은 시작도 끝도 없는 하나이며, 안과 밖이 없는 시공을 상징하기에 기, 종, 내, 외 등 서로 다른 요소가 하나를 이루는 우주적 조화를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6) 이 시리즈 작품들은 대개 3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천지인의 삼극(三極)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조화를 도모한다. 원형으로 만들어진 옛 윷판의 구성 원리인 29개의 점이 달의 공전주기를 나타내면서 삼극이라는 우주의 생성 원리를 상징하고 있음을 상기할 때,원의 형상이라는 것이 천부경의 ‘더불어, 하나됨’의 시공간과 화(和)의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살펴볼 수 있다.
〈어느 영혼의 노래〉(2006)라는 제명의 작품들은 또 어떠한가? 여기서는 원의 형태로 둘러 싸여 있는 산의 형상과 그 속에 고즈넉이 자리하고 있는 화가의 분신처럼 보이는 한 마리의 새의 모습이 발견된다. 이 시리즈는 원형상 경계의 ‘안과 밖’이 소우주/대우주, 현실/이상, 차안(此岸)/피안(彼岸), 인간/신으로 마주하는 가운데 그 속에 자리한 미물의 존재인 새 한 마리가 우주의 신비를 깨달아 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처럼 보인다.
그 뿐인가? 병마와 싸우면서 작업했던 〈병상 일기〉 시리즈에서도 이러한 원의 형상은 부분적이긴 하지만 언제나 화면 안에 자리한다. 화가가 카톨릭에 귀의하면서 받아들인 종교의 세계를 화폭에 담고 있는 〈만남-바이블 이야기〉, 〈만남-기도〉 시리즈에서도 이 원의 형상은 자리한다. 때로는 만물의 근원인 창조주를 상징하는 빛의 형상으로, 때로는 일자의 형상으로, 때로는 비둘기를 품은 성령의 형상으로, 그리고 만인을 품은 성자의 형상으로 화가의‘원’은 자리한다.
“원상을 그리면서....... 포용하고 아우르는 화(和)의 마음을 다스린다. 내가 살고 있는 시간을 담으면서...”7)라는 최해숙의 작업 노트에서도 드러나듯이, 화가에게 ‘원’이란 ‘생의 근원과 인간 존재’라는 거시적 주제를 담는 조형적 그릇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 나아가 원의 이미지는 가장 최근작이라고 할 수 있는 ‘단군신화’ 시리즈인 일련의 〈아사달의 아침〉 (2014)이라는 제명의 작품들과 ‘우주 암호’ 시리즈인 〈대화〉(2015) 라는 제명의 작품들에서 보다 더 전면적으로 나타난다. 그녀의 최근작에는 숫자라는 산술적 기호와 알파(Α)와 오메가(Ω)가 상징하는 존재론적 텍스트 그리고 상징적 기호 체계들이 원형의 이미지 내외부에서 지속적으로 만난다. “이제 거룩하신 영혼의 상차림에 / 한동안 나를 설레게 했던/ ‘무시무종(無始無終)의 노래’를 초대해 본다. / 문 열고 손 맞잡아 / 우주 창조의 암호를 도형과 수식으로 / (...) ‘화(和)를 위한 대화(對話)’에 / 귀를 기울여 본다.”8)라는 화가의 최근작에 대한 고백적 진술은 카톨릭 신앙에 근거한 최근의 작업이 이전의 관심이었던 천부경, 단군신화와 같은 한국의 전통 정신과 별리되는 것이 결코 아님을 피력한다.
최해숙이 자신의 ‘작업 여정’을 정리한 표에서 기록하고 있듯이, 그녀의 관심사는 최근의 자신의 카톨릭 신앙과 이전의 관심사였던 천부경 사이에서 모색하는 ‘상호 간 대화’와 같은 것이다. 그것은 원의 단상이라는 한국적 전통 세계를 자신의 신앙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서구의 세계를 끌어안는 전략이라고 하겠다. 달리 말해 그녀의 회화는 서구로부터 기원한 신(神)의 우주 창조 암호를 동양의 철학으로 풀어내면서 동양/서양, 주체/타자, 주체/객체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를 모색하는 작업이라 할 수도 있겠다.
어긋날 것 같은 카톨릭과 천부경 사이에서의 대화를 시도하는 그녀의 작업은, 인간-나무-숲이 교차하는 이미지를 통해서 아담의 선악과(善惡果)와 환웅의 신단수(神檀樹)의 신화를 오버랩시킨다. 또한 한 존재가 성부, 성자, 성령으로 신성과 인성을 나눠 갖는 서구의 ‘하나님’과 더불어 환인(桓因), 환웅(桓雄), 환검(檀君)으로 신과 인간의 변별적 정체성을 나눠 갖는 한국의 ‘하느님’은 겹쳐진다. 사람을 한꺼번에 남녀로 만든 창세기 1장과 달리 아담과 하와를 분리해 만든 창세기 2장의 변별적인 카톨릭 신화는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와 더불어 이승휴의 『제왕운기』(帝王韻記)의 ‘같은 듯 다른’ 신화들을 하나로 포개 놓는다. 이 모든 대화의 가능성과 서사들이 “오묘한 수수께끼”9)이지만 그녀는 오늘도 “화폭 속 미로에서 길을 묻는”10) 방식으로 화업을 이어 나가는 것이다.
최해숙, 만남4_ 기도, 2011
최해숙, 대화I_온_2015
2015년 최근작에서 화가는 원(圓) 이미지 안팎으로 쉬이 판독할 수 없는 도형, 기호와 수식들로 화면을 꾸려낸다. 그것은 “신(神)의 우주 창조 암호”11) 즉 ‘하늘로부터의 암호’를 찾는 일이 일련의 카톨릭 신화와 천부경 신화 사이의 ‘대화’로 가능할 수 있지 않겠는가를 질문하는 일이다. 물론 그것은 무엇보다 신학 혹은 종교학이 아닌 신앙으로 가능한 일이리라. 천부경의 삶의 철학과 그리스도인의 진리가 만나게 하는 일은 신앙의 힘이다. 최해숙의 신앙심 가득한 최근 회화의 언어는 “이제 남은 시간 / 설렘으로 나는 두드릴 것이다. / 천지인(天地人)의 비경(祕境)을!”12)이라는 2001년의 결단이 여전히 빛을 잃지 않게 한다. 그 빛이 2015년에 이르는 현재까지도 살아서 팔순의 삶에 이르는 노년의 화가로 하여금 ‘인간 존재론’에 대해서 끊임없이 사유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노년의 연륜에 이르기까지도 스스로를 끊임없이 철학하는 화가로 이끌고 있는 정신이 젊은 작가’라고 그녀를 평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할 것이다. 여전히 겸손한 자세로 ‘세상과의 화해와 대화’를 작업의 모토로 삼으면서 말이다. ●
'미술·공예 LIBRARY > 미술·디자인·공예 자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양이란 무엇인가?/ 박현택 (0) | 2016.03.04 |
---|---|
이재삼 평론/ 박영택 (0) | 2016.02.25 |
임만혁전 (0) | 2016.02.25 |
이경현 회화전 (0) | 2016.02.25 |
최광선전 (0) | 2016.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