同樂茶軒-문화와 예술/詩가 있는 뜨락

[스크랩] 다 스쳐보낸 뒤에야 사랑은/ 복효근

sosoart 2013. 11. 25. 22:17

 

 

다 스쳐보낸 뒤에야 사랑은/ 복효근

 

 

세상 믿을 놈 하나 없다더니

산길에선 정말 믿을 사람 하나 없다

정상이 어디냐 물으면

열이면 열

조그만 가면 된단다

안녕하세요 수인사하지만

이 험한 산길에서 나는 안녕하지 못하다

반갑다 말하면서 이내 스쳐가버리는

산길에선 믿을 사람 없다

징검다리 징검징검 건너뛰어

냇물 건너듯이

이 사람도 아니다 저 사람도

아니다 못 믿겠다 이 사람

저 사람 건중건중 한 나절 건너뛰다보니 산마루 다 왔다

그렇구나, 징검다리 없이

어찌 냇물을 건널 수 있었을까

아, 돌아가 껴안아주고 싶은,

다 멀어져버린 다음에야 그리움으로 남는

다 스쳐보낸 뒤에야 사랑으로 남는

그 사람 또 그 사람......

그들이 내가 도달할 정상이었구나

믿을 놈 하나 없다더니

이 산길에 나 하나를 못 믿겠구나

 

- 시집 『목련꽃 브라자(천년의시작, 2005)

...............................................................

 

 산 오르는 길에 쿵쿵 풀쩍풀쩍 사뿐사뿐 뛰며 내려오는 사람에게 묻는다. 얼마나 남았냐고, 산마루까지 가려면 몇 분이나 더 가야하냐고. 내 턱밑 어디까지 숨이 차올라야 목적지에 당도하냐고. 새까만 졸병이 제대를 앞두고 개구리복으로 갈아입은 고참에게 묻는 것처럼 묻는다. 그러나 예비군모 삐딱하게 쓴 채 '삐악삐악 햇병아리 주제에' 모질게 겁주는 선배군인처럼 말하는 선배 등산인은 없다. '국방부 시계 초침에게나 물어봐라' 까칠하게 답하는 사람도 없다.

 

 '조금만 가면 됩니다. '이제 다 왔어요' '힘내세요' 금자씨 보다 더 친절하다. 그 친절이 뭐가 어때서 시인은 '믿을 사람 없다고' 삐쳤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곧 깨닫는다. '징검다리 없이 어찌 냇물을 건널 수 있었을까' 그 사람들 다 돌아가 껴안아주고 싶은, '다 멀어져버린 다음에야 그리움으로 남는, 다 스쳐 보낸 뒤에야 사랑으로 남는 그 사람 또 그 사람......' 대면대면했던 그들이 바로 징검다리였으며 도달해야할 정상들이었다고. 평생 눈길 한번 마주치지 못하는 무수한 사람들 가운데 이만한 인연이라니.  

 

 한달 남짓 남겨둔 한해가 다 가고 있는 이 마당에 들어서서야 지나치고 스쳐간 사람들 모두, 무덤덤했던 그들과 나 사이, 별 볼일이 없다고 밀쳐두고 성가신 존재라 여겼던 그 사람들. 언제 한번 내가 손내밀어 본 일이 있느냐. 침만 한번 꿀떡 삼키면 내 얼룩으로 그들 상처를 덮을 수도 있었는데.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완전히 가려진 개기일식의 달처럼 한번쯤은 그들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을, 다시 돌아가 그들의 품속으로 파고 들 것을. 못 믿을 건 바로 나란 인간 아니었느냐.

 

 

권순진

 

 살다보면-권진원

출처 : 詩하늘 통신
글쓴이 : 제4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