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공예 LIBRARY/미술- 이론·비평·컬럼·작가

내 마음 속 미술- (54)안중식의 <성재수간도>/황병기

sosoart 2014. 6. 11. 20:06

내마음속 미술 

(54)안중식의 <성재수간도>

황병기

1980년대의 어느 날, 나는 KBS의 한 녹음실에 가야금 녹음을 하려고 들어갔다. 그 녹음실은 녹음기사의 조그마한 방을 통과하게 되어있는데, 그 기사 방에 걸어 놓은 동양화를 보고 깜짝 놀랐다. 동양의 풍경화는 의례히 산수화이고 그 안에 사람은 상징물처럼 조그마하게 그려지는 법인데, 이 그림은 한 밤중에 숲 속에 있는 집 마당에서 어느 남자가 나무 가지 사이로 사립문 쪽을 유심히 바라보며 서 있는 뒷모습을 그린 것이어서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것 같았다. 현대화도 아닌 전통적인 동양화가 이런 구도인 것이 너무나 놀라웠다. 나는 그 기사에게 이 그림을 나에게 팔라고 했더니, 그는 빙긋이 웃으며 복사본을 어떻게 파느냐고 하면서, 그렇게 좋으면 그냥 가져가고 그 자리에 다른 그림이나 사진이나 아무거나 대신 걸어 주기만하면 된다고 했다. 나는 카톨리카(Catolica)라는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해변 마을의 풍경사진을 걸어주기로 하고 이 동양화를 집으로 가져왔다.

안중식, 성재수간도, 종이에 수묵담채, 24x36cm, 개인소장


이 그림이 조선조 후기의 화가 심전(心田) 안중식(安中植)이 그린 ‘성재수간도(聲在樹間圖)’이다. 안중식의 ‘성재림간도(聲在林間圖)’도 있지만 이것은 진부한 스타일로 그린 전혀 다른 그림이다. 안중식은 현대 동양화가 심산(心汕) 노수현과 청전(靑田) 이상범의 스승이어서, 이들의 아호가 각기 스승의 아호인 심전(心田)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나는 노수현과 이상범의 그림을 다 소장하고 있어서 안중식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성재수간도>를 집으로 가져오자마자 바로 가야금 곡을 작곡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림을 음악으로 작곡하려면 공간을 시간으로 번역해야 한다. 숲에 바람이 불면 수많은 나무 잎들이 나부끼는 소리 속에 듣는 이가 생각하는 갖가지 소리가 다 들리는 듯이 느껴진다. 따라서 <성재수간도>에서 남자 주인공은 자기가 간절히 기다리는 사람이 찾아오는 발자국 소리를 듣고 반갑고 설레는 마음으로 마당으로 뛰어나가 사립문 쪽을 유심히 바라보지만, 찾아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달빛만 가득한 마당에 바람만 휘몰아치고 있는 장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곡 전체를 4부분으로 구성했다.1장은 달빛 밝은 밤의 숲 속에 있는 집 마당 풍경을 그린 것인데, 신비로운 화음으로 꾸며진 가락으로 고요하게 시작하여 잔잔하게 속삭이는 가락으로 이어진 후, 급속한 템포로 고조되었다가 다시 고요하게 가라앉으면서 끝난다. 2장은 사랑스러운 중중몰이 가락이 주인공의 설레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3장은 바람처럼 휘몰아치는 기교적인 악장인데, 특히 후반의 4련음과 6련음의 급속한 연타(連打)는 내가 새롭게 개발한 난삽한 가야금 기교로 연주된다. 마지막 4장은 애절한 여백의 미를 느끼게 하는 진양조 풍의 가락으로 되었다.

곡을 완성한 후 곡명을 ‘밤의 소리’라고 붙였다. 제일 처음으로 집사람에게 들려 주었더니, 곡은 좋은데 ‘밤의 소리’라는 곡명이 이상하다고 했다. 아름다운 음악에 왜 하필 ‘밤의 소리’라는 음흉스러운 이름을 붙이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보다 더 적절한 이름이 떠오르지 않았다. 밤에 들리는 소리이니 ‘밤의 소리’라고 할 수 밖에 없었다. 아무튼 ‘밤의 소리’는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애호해 주었고, 나 외에도 수많은 가야금 주자들이 국내외에서 숱하게 연주하였으며, 여러 무용가들이 무용으로 안무하여 춤곡으로도 사용되었다. 

황병기(1936- ) 가야금 연주가 및 작곡가, 이화여대 교수, 하버드대 객원교수, 연세대 특별초빙교수,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등 역임, 호암상, 후쿠오카 아시아문화대상을 수상. 저서로『깊은밤, 그 가야금 소리』,『오동천년 탄금60년』,『논어 백 가락』등이 있으며, 가야금 독주곡 음반 5집을 출반. 현재 이화여대 명예교수, 예술원 회원,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

출처: 김달진 미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