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골 통신-인생2막 이야기/소니골 통신-귀산촌 일기歸山村 日記

동락재 통신-72: 무례한 방문

sosoart 2007. 4. 6. 23:09

 

 

동락재의 원조 솟대

 

 

06년 6월의 앞마당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듯이 이 솟대가 터줏대감이 되었다

 

장미 위에서 한껏 나래를 펴다

 

공작산 입구의 저수지에서 낚시를 하는 낚시인

 

공작산 방면에서 동락재로 향하는 소니고개 내리막 길

 

<동락재 통신-72: 무례한 방문>          (06. 6. 28)


서울에서 아침에 딸 출근시켜 주고 홍천으로 내려왔습니다.

이제 여름이 되어 서울이란 곳을 가면 도저히 더워서 지내기가 힘이 듭니다.


자동차의 에어콘이 애초에 살적부터 말썽이더니, 해마다 가스를 보충해도 새어나가고, 새는 곳을 고친다  해도 또 그 모양이라 이번에는 고치지도 않고 그냥 여름을 지내기로 했습니다.


서울의 市街를 차를 타고 돌아다닐 일이 별로 없고, 이곳 山村에서는 자동차의 에어콘을 켜는 것 보다, 바깥바람이 더욱 시원하고 親 人間的이어서 자연의 바람에 익숙해져 있으니, 인위적인 찬바람을 멀리하게 됩니다.


서울만 갔다 오면 피곤해지는 것이, 이제는 거의 촌사람이 다 되었다고나 해야 될까봅니다.


동락재에 도착하여 이것저것 가져온 것을 대충 정리하고, 잠깐 침대에 누웠는데, 깜박 잠이 든 모양입니다.


우리 마당의 네 녀석들이 요란히 짓는 소리에 잠이 깨어 옷을 주섬주섬 주어 입고 밖을 보니, 왠 여성과 외국인 남자가 현관문 앞에 서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올해, 겨울에서 봄이 다가올  무렵엔가, 면사무소 옆 교회의 목사 부부가 다녀간 적이 있었는데, 그 목사의 부인과 외국인이 같이 온 것이었습니다.


잠결에 갑작스런 客의 방문에 당황을 하였지만, 이미 그들이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는 장면이 되어 “영구 없다!”라는 말도 못하고 그만 부스스한 꼴로 그들을 맞았습니다.


아무리, 산골에서 木作業을 하는 사람의 작업장이라 해도, 미리 연락을 하고 왔으면 좋으련만......


어쨋던, 내 집에 온 손님 그냥 내치지는 않는 것이 또한 이 사람의 사는 법이기에, 전시장 겸 거실 안으로 맞이했습니다.


미국에서 전도 겸 봉사 차 한국에 온 사람인데,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쳐 주며  많이 애를 써 준다고 저에게 소개를 하더군요.


주변에 마땅히 한국의 전통문화에 관해 소개할 곳이 없어 고심하던 차에, 어제 이 동락재와 저의 작품을 소개하기 위하여 이곳을 들렸는데, 아무도 계시지 않아 오늘 다시 왔다며, 주무시고 계시는데 죄송하다고 해서 “괜찮다”고 했습니다.


이미 부스스한 모습을 보였는데, 어쩝니까?


전통 목조각품과 목가구를 소개하고 더 얘기를 나누고 싶었지만, 잠이 설깨서 얼떨떨하기에, 손수 차를 끓여 대접하는 것도 생략을 하고 보냈습니다.


실은 좀 미리 연락도 하고 오지 않은 無禮함에 아주 쬐끔은 不快하기도 했습니다만.....


이런 경우가 종종 있기는 합니다.


너무 밖에 노출되다보니, 길을 지나다가 事前 豫告도 없이 들리는 사람들도 많고, 일부는 시골의 생활에 익숙해진 사람들이어서 그런지, “방문을 해도 좋으냐”는 물음도 없이 들어설 때에는 다소 당황스럽기도 할 때가 적지 않습니다.


그래도 저의 작품을 보러 왔다는데, 소홀하거나 섭섭하게 대접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그래도 여러 사람 중에서, 지난 일요일 아침의 방문객과 같은 이들은 차 한 잔 앞에 두고, 작품 이야기라든지, 이런 산촌에서 자연과 더불어 시간을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더 오래 나누고 싶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이 부근의 야수교(야전 수송 교육단)란 부대의 아들 면회를 오다가 집이 예뻐서 들어 왔다며, 중년의 부부가 마당으로 들어서서 정중히 작업실과 작품을 보고 싶다며 청을 할 때에는 기꺼이, 이른 시간이지만 안내를 한 적이 있습니다.

자동차의 번호판을 보니 “경남” 차이기에 “경남 어디에서 오셨냐?”고 물었더니, “진주”에서 왔다고 하는 분들이었습니다.


진주라고 하니, 왜장을 끌어안고 논개가 뛰어들었다는 南江과 촉석루 그리고 세미나 참석차 출장을 갔다가 진주 시장 안에서의 그 유명한(전주의 비빔밥에 버금가는) 진주비빔밥을 맛있게 먹었던 일들이 얼핏 생각이 나더군요.


두 夫婦가 미술과 공예 그리고 산촌이나 전원에서의 삶을 부럽다며, 작품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어 하고 질문을 하기에 짧은 시간에 많은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너와 같이 술을  마시면

깊은 술이 된다


어젤 이야기하며

오늘을 이야기하며

내일을 이야기하며

아, 이 강렬한 태양

너로 하여 너에 타며 끝이 없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각자

그 끝없는 걸 남기고 사라져가는 거

사라져가는 거에 타며

날 마신다

오, 파도여.


조병화 시인의 시 “남 남” 8장이었습니다.


이렇게 지나치며 들리는 사람들 중에서도 오랜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사람들도 있고, 짧은 시간이지만 그들의 旅情에 산촌의 정을 듬뿍 나누어 주고 싶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네게 필요한 존재였으면 했다

그 기쁨이었으면 했다

사람이기 때문에 지닌 슬픔이라든지, 고통이라든지,

번뇌라든지, 일상의 그 아픔을

맑게 닦아낼 수 있는 네 그 음악이었으면 했다

산지기가 산을 지키듯이

적적한 널 지키는 적적한 그 산지기였으면 했다

가지에서 가지로

새에서 새에로

꽃에서 꽃에로

샘에서 샘에로

덤불에서 덤불로

숲에서 숲으로

골짜기에서 골짜기에로

네 가슴의 오솔길에 익숙턴

충실한 네 산지기였으면 했다

그리고 네 마음이 미치지 않은 곳에

둥우릴 만들어

내 눈물을 키웠으면 했다

그리고 네 깊은 숲에

보이지 않는 상록의 나무였으면 했다

네게 필요한, 그 마지막이었으면 했다. 


 같은 시집의 27장이었습니다.


산에서, 그 골짜기의 언저리에서 시간을 살다보면 때로는 이러한 마음으로 산 밖을 그리며, 산 밖에 사는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시간도 있게 마련입니다.


내일은 다시금 일상으로 돌아와 목가구의 제작 작업에 열중을 하여야겠습니다.


大學의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진실로 하루가 새롭고, 날마다 새롭다”는 그 말씀.


이제야 그 뜻을 알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며,

날마다 새로운 날이 되고자 시간들을 정리합니다.


내일은 또 새로운 일들이 나를 많이 즐겁게 하여 줄 것이란 믿음으로,  오늘을 접습니다.